Translate

2017년 2월 16일 목요일

테러를 대하는 선진 시민의 자세



테러를 대하는 선진 시민의 자세


크리스마스를 엿새 앞둔 12 19, 축제 분위기가 한창이었던 베를린 크리스마스 시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돌변했다. 테러를 목적으로 대형 트럭이 시장에 돌진한 것이다. 이미 독일 내에서 크고 작은 난민에 의한 테러 공격 및 시도로 인해, 반난민 정서 및 안보 불안감이 팽배해있던 상황에서, 크리스마스 시장 공격은 이슬람, 이민자에 의한 기독교, 서방 문명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물론, 실제로 이러한 대결 구도가 존재하는 지에 대해서는 따로 의논해야할 것이다.) 


테러리즘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공포 수단을 이용하는 주의나 정책으로,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정치적 목적은 불확실하지만, 적어도 그들은 매우 성공적으로 공포, 불안 및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듯 하다. 특히 대부분의 테러 사건에서 범인들이 피해 국가 자국민이거나, 합법적 영주권 소지자이며, 테러 수단 역시 트럭 등 일상적인 것으로 발전하면서 그 불안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게다가 IS는 더 이상 테러 공격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 않는다. IS는 지극히 합법적, 대중적인 Youtube 채널을 통해 전 세계 수 많은 젊은이들을 포섭했으며, 그 중 몇몇은 자발적으로 알아서 (자살) 테러를 감행한다. 어제까지만 해도 우리의 이웃이라 믿었던 사람이 오늘 갑자기 테러범으로 돌변할 수 있는 것이며, 사실상 이를 제지하기 위한 수단은 사실상 전무하다. 나 역시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는 테러 공격으로 죽을 수 있다는 공포감이 엄습하며, 이러한 공포는 사회 전반으로 금새 전염된다


이러한 공포는 사회적 갈등을 낳는다. 공포에 대한 방어 기제로 사람들은 내 편과 테러리스트로 편 가르기를 시작한다. 선량하고 평범한 수많은 시민들은 무슬림이라는 이유만으로 잠재적 테러리스트 용의자가 된다. 공포에 떤 사회는 민주적 원칙과 합리성까지 잃어버리게 된다.


테러는 이렇게 소중한 희생자들의 목숨 뿐만 아니라, 민주적 사회에 큰 위협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테러를 방지하고, 대처할 수 있을까?

테러 방지책, 그 효과는? 글쎄....

미국의 경우, 9.11 테러 이후, 부시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으며, 테러 방지법을 도입해 국가 안보를 빌미로 언제든지 국민의 사생활과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테러 방지를 명분으로 합법적 비자 소지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무슬림 국가 출신 시민들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어처구니 없는 인종차별적 행정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미국 뿐만 아니라, 프랑스 역시 테러에 대해 이러한 강경하고 공격적 정책을 택하고 있다. 프랑스는 테러 공격 이후, IS를 척결하겠다며 시리아 공습을 감행했고, 국가비상사태는 2017 1월까지 연장되었다. 국가비상사태 하에서는 프랑스 수사당국은 법원의 영장 없이 테러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에 대해 가택 수색, 가택 연금 등의 조치를 계속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일말의 인권 침해, 민주적 절차 훼손 가능성은 안보라는 이름 하에 묵살되었다.


이렇게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눈물 겹도록 계속되는데, 과연 이러한 정책들은 효과적인 걸까? 통계는 그 정반대를 말해주고 있다. 미국의 경우, 테러와의 전쟁 이후 오히려 테러 희생자가 10배나 늘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1/18/2015111800410.html?Dep0=twitter&d=2015111800410) 샬리 옙도 테러 이후, 파리를 가득 메운 무장 군인들은 바타클랑 테러 사건을 방지하지도 못했다.  게다가 테러로 인한 무슬림 혐오는 무슬림 청소년들을 사회적으로 고립, 좌절시켰고, IS는 이를 공략해 손 쉽게 테러 세력을 양산하는 테러 악순환이 생겨났다. (http://www.yonhapnews.co.kr/international/2015/01/08/0606000000AKR20150108004700108.HTML) 결국, 테러 방지를 위한 안보 정책, 그리고 사회 갈등은 테러 방지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테러를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평정심 유지와 화합 정신 강조만이 유일한 테러 방지책
독일 시민, 언론 정치권 모두 평정심 유지

우리는 도대체 테러 방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전술했듯이, 테러리스트들은 테러를 통해 공포감과 사회 갈등을 조장하고자 한다. 우리는 테러 공격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우리의 감정과 반응을 통제할 수는 있다. 만약, 우리가 테러에 무관심으로 대응하고, 오히려 사회 대 통합에 힘쓴다면 어떨까? 테러의 동기가 사라지고, 결국 테러리스트들은 무기력감에 빠져, 테러 공격을 감행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무고한 시민이 죽었다는데,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한 것일까? 이런 불가능을 실천한 실례가 있다. 바로 베를린이다. 베를린 시민들은 희생자를 진심으로 추모하면서도, 평정심을 유지했고, 테러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했다. 언론, 정치자, 시민 사회 모두가 힘을 합쳐 소중한 일상을 유지하는 데 노력했다.


언론들은 테러 공격이라는 공식적 발표가 있기 전까지 보도 시 테러대신 공격 (Anschlag)”이라는 중립적 단어를 사용했다. 테러 사건 발생 이틀 후인, 21일까지도 언론들은 베를린 트럭 공격, 우리는 아직 아무 것도 모른다라는 메세지를 전달하며, 이 사건을 테러로 규정하는 데 극도로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https://deutsche-wirtschafts-nachrichten.de/2016/12/21/lkw-anschlag-auf-weihnachtsmarkt-in-berlin-wir-wissen-nichts/) 한국과 미국의 언론이 사건 직후, 테러로 규정하고 보도한 것과 달리, 독일 언론은 테러의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테러 보도에 책임감있고, 성숙한 자세로 임했다.


뮌헨 총기 난사 사건 직후 역시, 한국 언론은 섣불리 테러로 규정했으나, 독일 언론들은 공식 발표가 있기까지 테러라는 단어를 쓰기를 극히 꺼려했으며, 실제로, 이는 무슬림 테러가 아닌 오히려 극우 인종 차별에 기초한 사회 소외 계층의 총기 난사로 밝혀졌다. 이 후, 독일 언론은 이를 정신 착란 Amok”이라고 명하지만, 한국 언론은 아직도 테러로 정의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한국은 테러 청정 지역에 속하고, 무슬림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기에, 언론이 사건 보도에 있어서 독일 언론만큼 책임감있고, 신중하게 행동할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세계화된 현실에서, 한국 언론 역시 해외 보도라는 이유 만으로 이러한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사람들은 테러라는 단어를 들으면 자동적으로 무슬림 테러를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비무슬림에 의한 테러가 역시 굉장히 많다. 무슬림이 저지르면 테러, 백인이 저지르면 정신 이상자로 규정하는 불공평한 사회 프레임이 비판되고 있기도 하다. (Princeton university’s Loon watch )


언론의 연일되는 테러 보도로 인해 우리는 테러와의 시대에 살고 있는 듯 하지만, 실제로 서유럽에서 테러 희생자는 1970년대에 비해 훨씬 낮다.

정치권 역시 성숙한 태도로 일관했다. 물론, 난민 우호 정책을 펼친 메르켈로서는 테러 공격 앞에서 사회 안정과 화합 촉구를 할 수 밖에 없었는 지도 모른다. (뮌헨 총기 난사 사건 직후, AfD는 이를 난민의 의한 테러로 단정, 메르켈의 난민 우호 정책을 비난하고, 갈등을 조장했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시민들로부터 엄청난 욕을 먹었다.) 메르켈 대통령은 베를린 테러 사건 직후에도 난민 우호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며, 인본주의 가치를 지킬 것을 다시 한번 천명했다. (하지만, 난민 탈락율이 높아졌고, 난민 신청 탈락시 추방 정책 역시 강해졌다.) 독일 정부는 프랑스나 미국처럼 더 경계 높은 안보 정책을 추구하지도 않았으며, 테러 방지 법안 역시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정치권 역시 테러 전과 동일하게 평정을 유지했다. 파리처럼 무장 군인이 베를린 거리를 메우지도 않았다.


베를린 시민들 역시 평정심을 잃지 않았다. 베를린 전역에 크리스마스 마켓이 폐장될 뻔할 만한 위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베를린에는 수 많은 크리스마스 마켓이 있다. ) 사건 발생 시장은 고작 이틀만 휴장하고, 다시 열었다. 일각에서는 돈 때문이라지만, 테러리스트를 비웃기라도 하듯이 일상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 제스쳐이기도 했다. 물론, 진정성 있는 애도와 추모는 빠지지 않았다


독일 언론들은 테러 사건 직후, 베를린 시민들의 평정심, 혹은 무관심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일부 보수 언론은 베를린 시민의 무관심을 못마땅하게 바라보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언론이 베를린 시민들의 선진적 시민 의식을 칭찬했다. 원래 베를린 시민들이 남에게 지극히 관심없고, 어떤 일에도 감정의 동요가 없는 무미 건조한 사람들이긴 하지만 말이다. 주변 베를린 사람들 테러를 수다 거리로 삼거나, 무서워 하는 사람은 없다. 지인들은 농담삼아 베를린 사람의 60%가 마약을 복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무관심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렇게 독일은 언론, 시민사회, 정치권, 정부가 힘을 합쳐 테러에 평정심으로 대응했다. 물론, 앞으로 베를린, 독일에서 또 다른 테러 공격이 없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평정심 유지만이 진정한 테러 방지 해결책임은 분명하며, 이에 우리는 독일, 베를린 시민들을 본 받아야 한다. 베를린에 살고 있는 지금, 베를린 시민임이 참으로 자랑스럽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